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6)
화음, 코드 3화음 = 근음+3음+5음 음계를 시작하는 근음과 3음, 5음을 합쳐서 장3화음을 이룬다. (Major 코드) 3음을 반음 내리면 단3화음이 된다. (Minor 코드) 주요 3화음 음계를 시작하는 1음을 으뜸음(Tonic), 5음을 딸림음(Dominant), 4음을 버금딸림음(Sub-dominant)이라 하며 음계의 축을 이루는 역할을 한다. 1음이 근음인 1도화음을 으뜸화음(𝙸), 4음이 근음인 4도화음을 버금딸림화음(𝙸𝚅), 5음이 근음인 5도화음을 딸림화음(𝚅)이라 한다. C Major Diatonic 코드 검은색 건반을 치지 않는 기본 코드 1도화음 : C코드 : C-E-G (도-미-솔) => Cm 코드 : C-Eb-G (도-미b-솔) 2도화음 : D코드 : D-F#-A (레-파#-라) => Dm..
전조, 조 바꿈, 키 변경 조성 = 음의 구성 = 음악의 분위기 음계(Scale) = 음의 계단 장음계(Major Scale)는 3음-4음 사이와 7음-8음 사이가 반음 도레미파솔라시도 단음계(Minor Scale)는 2음-3음 사이와 5음-6음 사이가 반음 라시도레미파솔라 장음계로 이루어진 음악은 장조, 밝은 분위기 단음계로 이루어지 음악은 단조, 어두운 분위기 12키 장음계 흰색 건반 7개, 검음색 건반 5개 합쳐서 시작하는 음이 12가지 3음-4음 사이와 7음-8음 사이는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이어야 장음계가 된다. C Major Scale : C-D-E-F-G-A-B-C (도-레-미-파-솔-라-시-도) C음으로 시작하는 음계, 샵/플랫 없음, 검은색 건반 사용 안함 Db Major Scale : Db-Eb-F-Gb-Ab-B..
악기 배우기는 어떻게 시작해야 하지? 악기 정하기 일단 피아노를 시작하겠다고 치면, 학원을 등록하거나 온라인 강좌를 들을 수 있겠다. 피아노를 배워본 적이 있다면 클래스101 피아노 클래스를 통해 굳어진 손을 깨워보자. 배워본 적이 없다면 맨 처음에는 오프라인으로 배우는 것이 좋다. 건반에 손을 올려 자세를 잡는 방법이나 음계와 같은 이론은 처음 접하면 어려울 수 있기 때문 업라이트 피아노 - 일반 어쿠스틱 피아노를 일컫는다 디지털 피아노 - 볼륨 조절 가능, 헤드폰 사용 가능, 입문용으로 적합 참고자료 수집 중 https://www.flowkey.com/ko/piano-guide/piano-practice 피아노 연습 노하우 | flowkey연습 시간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요? 연습 일과 짜기에서부터 연습 내용 조직하기..
국내 음원 스트리밍 시장 점유율 2023년 4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 기준 1위 유튜브 뮤직 월간활성이용자(MAU) 수 521만명 (전년도에 비해 121만명 증가) 약 8000만곡 보유 라이브 공원 음원, 커버곡 등 비공식적인 희귀 음원을 들을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화 포인트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권으로 뮤직까지 이용 가능 2위 멜론 월간활성이용자(MAU) 수 459만명 (전년도에 비해 9만명 증가) 약 4000만곡 3위 지니뮤직 월간활성이용자(MAU) 수 203만명 (전년도에 비해 28만명 감소) 4위 플로 월간활성이용자(MAU) 수 128만명 (전년도에 비해 23만명 감소) 나는 플로를 쓰고 있다. SKT 멤버십 할인 때문인데 6개월까지만 해주니까 나머지 6개월은 다른데서 듣는다. 5위 네이버 바이브 (전년도에 비해 3만명 감소)..
2024년 2월 적금 가입을 위한 금리 확인 적금풍차를 꾸준히 돌리고 있어서 매월 10일 즈음이 되면 이번 달에는 어느 은행 적금에 넣어야 할지 살펴보고 있다.1금융권보다 저축은행의 적금 금리가 높은 편이라 주로 저축은행 금리를 보는데, 2023년 4월부터 11개월째 금리 변동이 없고 가끔 특판 상품만 나왔다 사라질 뿐이다. 저축은행 금리는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 사이트나 SB톡톡+ 앱에서 종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다.(2024년 2월 7일 조회, 12개월 적금 기준) 우리금융저축은행우리E음정기적금 ESG 5%월 납입금 30만원 한도, 1인 1계좌 페퍼저축은행페퍼룰루 2030적금 5% (기본금리 3.5% + 우대금리 1.5%)월 납입금 30만원 한도, 1인 1계좌6회 이상 자동이체시 1% 우대상품서비스 문자 및 전화 안내 동의시 0.5% 우대※ 고..
OTT 구독 지출을 정리해본다 1위 유튜브 (계정 공유 불가) 8,083원 × 12개월 = 연간 96,996원 지출 원래 8,690원인데 신용카드 할인받아서 8,083원 2위 넷플릭스 (3인 공유) (24,000원 − 환급 17,510원) × 12개월 = 연간 77,880원 지출 원래 27,000원인데 신용카드 할인받아서 24,000원 계정 공유하여 돌려받는 금액 17,510원 3위 플로 6,083원 × 12개월 = 연간 72,996원 지출 4위 웨이브 (4인 공유) 연간이용권 139,000원 − (환급 9,935원 × 12개월) = 연간 19,780원 지출 계정 공유하여 돌려받는 금액 9,935원 5위 티빙 (4인 공유) 연간이용권 114,000원/년 − (환급 9,935원 × 12개월) = -5,220원 (지출 없음) 원래 139..
IPO 공모주 2023년 수익을 정리해본다 공모주 2년차, 작년 경험을 기억하며 조심스럽게 투자했는데 주식시장이 작년에 비해 호황이었기에 예상보다 나은 수익을 얻었다. 내년에는 더 많은 수익을 기대하며 올해를 정리해본다. 1월 - 3종목 청약하여 수익 176,500원 2월 - 4종목 청약하여 수익 409,400원 3월 - 4종목 청약하여 수익 207,700원 4월 - 1종목 청약하여 수익 12,000원 (가뭄이었네) 5월 - 3종목 청약하여 수익 146,780원 6월 - 4종목 청약하여 수익 158,060원 7월 - 5종목 청약하여 수익 343,650원 8월 - 3종목 청약하여 수익 119,300원 9월 - 1종목 청약하여 수익 27,500원 (또 가뭄) 10월 - 8종목 청약하여 수익 510,800원 (종목은 많았지만 수익률은 기대만 못했던) ..
회전정기예금의 금리는 1년마다 바뀐다 작년 10월 금리가 최고점이던 시절, 무한 대기를 뚫고 어렵게 가입한 3년만기 회전정기예금. 1년이 지나니 6.5%였던 금리가 4.35%로 줄어들었다. 회전정기예금이란게 이런거였군. 가입시점의 금리는 1년만 보장되는거니 3년만기라는게 의미가 없네. 1년이 지나면 이자를 자동으로 지급해주면서 금리가 바뀐다. 이자는 받았으니까 바뀐 금리가 마음에 안들면 해지해도 무방하다. 어디로 갈아타야 하나? 현재 시점에서 금리가 가장 높은 예금은 어디? (2023년 10월 20일 조회, 12개월 예금 기준) 4.65% 조은저축은행 (판매종료) 4.61% 더블저축은행 (판매종료) 4.6% 동양저축은행 4.55% CK저축은행 대한저축은행 청주저축은행 4.52% 참저축은행 엠에스저축은행 오투저축은행 4.51% 스마트저축은행 ..